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생각] 욕심의 그릇
    텍스트/생각과시 2019. 4. 10. 07:30

     

    얼마전, 세면대에 물을 받다가 '채움과 비움'에 대한 생각을 했다.

     

    그릇은 왜, 물을 모두 받으면 게워버리려 하고

    물은 어째서, 더이상 그곳에 머무르려 않고 흘러버리는 것일까?

    애초에 그렇게 게워버리 듯 비우고자 했다면 담지 말았어야하지 않을까?

    물도 이다지도 미련없이 흘러버릴 것이었다면, 애초에 담기지 않았으면 될 게 아닌가..

    어째서 이 둘은 채웠다가 비웠다 하는 번거로움을 반복하는 것일까?

     

    생각은 끝이 없었다.

    물론, 과학적 사고로는 충분한 답을 얻겠지만 내가 바란것은 그게 아니다.

    그래도 이 생각으로 작은 소득은 있었다. 그것은 아래와 같다.

     

    흐르는 물도 비우려는 그릇도,

    그러한 물은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라

    이미 한번 담아보고 담겨본 것들이란 것.

     

    내가 오늘 들은 어느 독자의 메세지는 위 생각과 많은 부분을 공감하고 있다.

    다 채우는 것도, 더이상 그곳에 머물지 않고 떠나려는 것도,

    비우고 새 물을 받고자 하는 것도 모두 그들이 가진 욕심때문이다.

    그릇이 물을 가득 담고자 하는 욕심을 조금 버렸다면,

    후에 다른 것을 더 담을 수 있었을 것이다.

    우리의 마음은 이 물을 담는 그릇과 같다.

    무한정 담고자 하고, 새로운 것을 탐한다. 하지만 크기는 한정되어 있기에

    탐하는 것을 담고자 기존의 것을 비우려다 남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고

    악행을 저지르기도 하고, 자신을 속이기도 하는 것이다.

     

    비워야 할 때는 더이상 담을 곳이 없어 새것을 담기 위함이 아니라

    그 물이 필요한 곳이 있을 때 비워야한다.

    바꾸어 물이란, 나의 관심, 사랑, 온정, 베품, 봉사, 희생, 기부와 같은 것이다.

    봄비가 겨울을 지나 바짝 마른 나무에 새싹을 틔워주 듯 적절한 곳에 비워야한다.

    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더 많이 비우는 것은 욕심이다. 싹이 틀 수 있게만 도와야한다.

    너무 많은 비는 오히려 여린 잎을 상처내고 짓무르게 하며

    얼게 만드는  슬픔과 고통, 좌절을 만들 것이다.

     

    나에게 묻는다.

     

    나의 그릇은 어느 정도 물이 차있는가?

    나는 얼마큼 더 채우고 얼마큼 비워냈는가?

    내가 채운 물은 정당한 것인가?

    내가 물을 비운 곳은 적절한 곳이었나?

     

    20150513 0740

    '텍스트 > 생각과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행복의 크기  (0) 2019.04.10
    소중한 이유  (0) 2019.04.10
    [생각] 자유의 조건  (0) 2019.04.09
    [생각] 이별의 고통  (0) 2019.04.09
    [詩] 퇴근길  (0) 2019.04.09
Copyright ⓒ EomMaMam.com